안녕하세요. PA 人 Thank you 블로그에 찾아주신 여러분. 은행과 저축은행 휴먼예금, 카트 포인트 등 금융권에서 잠자고 있는 휴면예금이 4조 3천8백억원에 이른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휴먼금융 재산을 찾아보고 싶어도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도 모르고 복잡할 것 같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면 휴먼예금부터 공과금까지 잠자는 돈을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오늘은 금융감독원이 소개하는 잠자는 내 돈 찾기 3단계 비법을 안내해 드릴게요.
사례 1
서울에 사는 주부 김진숙씨(43세)는 충분하지 않은 소득에 생활비 부담으로 늘 한 푼이 아쉬운 실정입니다. 그런데 지난 연말 이웃에 사는 다른 주부 박희정씨(40세)로부터 까마득히 잊고 있었던 은행 휴면계좌에서 65만원을 찾았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후 김진숙씨도 혹시 휴면금융재산이 있는지를 알아봐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지만 조회방법을 잘 모르고 복잡할 것 같아 차일피일 미루고 있습니다.
사례 2
경기 소재 단위 농협의 조합원이던 오상일씨(54세)는 몇년 전 지방으로 이사를 하면서 조합을 탈퇴하였으나, 1백만원의 출자금을 환급 받지 않았습니다. 오상일씨는 최근 「파인」을 통해 출자금 미 환급 사실을 알게 되었고, 가입한 경기 소재 조합에 가지 않고도 거주지에 있는 농협조합에 신청하여 1백만원의 출자금과 조합원 배당금까지 모두 돌려받았습니다.
사례 3
직장인 진정남씨(39세)는 지인 부탁과 카드 부가서비스 혜택 등의 이유로 신용카드를 자주 바꾸어 사용하였습니다. 이후 진정남씨는 사용한 카드에 쌓인 포인트를 까맣게 잊고 있었습니다. 친구 소개로 「파인」의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서비스를 알게 되어 조회해 보니 6장의 카드에 총 30만원 상당의 포인트가 쌓여 있었습니다. 적립된 카드 포인트로 평소 사고 싶었던 물건도 사고 상품권으로도 바꿔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잠자는 내 돈, 가장 빨리 확실하게 찾는 3단계 비법
① 인터넷에서 파인 두 글자 입력
파인은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금융소비자정보 포털 사이트(fine.fss.or.kr)입니다. 주소를 바로 입력해 찾을 수도 있지만, 인터넷에서 ‘파인’만 입력해도 가장 위에 사이트 주소가 나옵니다. 그 동안엔 각 휴면 금융재산별로 관련 기관이 운영하는 조회 시스템을 일일이 방문해야 했는데요. 불편하고 귀찮아서 찾지 않은 휴면재산이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4조3846억원에 달합니다. 그러나 2017년 2월 15일부터는 파인만 방문하면 모든 잠자는 돈을 찾을 수 있습니다.
② '파인'에서 “잠자는 내 돈 찾기” 클릭
파인에 들어가면 “금융상품 한눈에”, “금융꿀팁 200선” 등 금융소비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담고 있는 다수의 코너를 접할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 휴면금융재산을 찾기 위해서는 “잠자는 내 돈 찾기*” 코너를 클릭하면 되는데요. 종전의 '휴먼금융재산 조회'를 보다 알기 쉽게 바꾼 것이 특징입니다.
③ "잠자는 내 돈 찾기" 에서 유형별로 클릭
“잠자는 내 돈 찾기” 코너에 들어가면 다시 9개의 휴면금융재산별로 조회 코너를 접할 수 있습니다. 9개의 휴먼금융재산별 코너를 하나 하나 클릭하다 보면 자신이 잊고 있던 휴먼금융재산 보유 여부와 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각각 조회하려면 주민등록번호와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 9개 조회 별 서비스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은행 휴면예금ㆍ신탁 만기 후 5년 이상 찾지 않은 휴면예금, 1년 이상 비활동성 예금, 만기가 5년 이상 지난 불특정금전신탁을 포함한 모든 은행계좌를 한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 30만원 이하 소액 계좌는 조회 후 바로 환급 가능합니다.
저축은행 휴면예금 만기 후 5년 이상 찾지 않은 저축은행 휴면예금을 한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
협동조합 휴면예금 농협ㆍ수협ㆍ신협ㆍ산림조합 및 새마을금고에 있는 휴면예금ㆍ휴면공제금과 조합원 탈퇴 후 찾아가지 않은 출자금ㆍ배당금이 있는지 조회할 수 있습니다.
휴면보험금 보험료를 내지 않아 효력을 상실했거나 만기 후 3년 이상 찾아가지 않은 보험회사ㆍ우체국에 있는 본인 명의의 모든 휴면보험금을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
휴면성 증권 6개월 이상 거래가 없는 10만원 이하 증권 계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미수령 주식 주주가 실물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주식 배당, 유무상 증자 등을 제대로 통지받지 못해 한국예탁결제원이 보관하고 있는 미수령 주식 및 배당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카드 포인트 신용ㆍ체크카드에 적립한 카드포인트 및 소멸 예정 포인트와 소멸 시기를 알 수 있습니다.
예금보험공사 미수령금 파산한 저축은행 등에서 찾아가지 않은 예금보험금, 파산배당금 및 개산지급금(예보가 미리 지급한 금액) 정산금 등을 한번에 조회하고 환급 신청도 할 수 있습니다.
미환급 공과금 국세, 지방세, 보관금 및 송달료, 건강보험료ㆍ국민연금ㆍ고용산재보험료 과오납금, 유료방송ㆍ통신 미환급금 등 한 번에 확인하고 환급신청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금융 회사에 잠들어 있는 돈을 깨우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렸는데요. 2017년 4월부터는 스마트폰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하니 잘 기억해두었다가 유용하게 활용해 보시기 바라요.^^
'트렌드를 알아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학기 자녀 건강을 지키자! 10대 감염병과 예방수칙 (0) | 2017.03.29 |
---|---|
2017년 달라지는 금융제도 (0) | 2017.03.22 |
단기간 자금 운용에 좋은 CMA통장 알아보기 (0) | 2017.03.16 |
지금 먹으면 딱 좋은 3월 제철음식을 알아봐요 (0) | 2017.03.14 |
티끌모아 태산! 신혼부부를 위한 가계부 작성팁 (0) | 2017.03.10 |